맨위로가기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은 도쿄 메트로의 지하철 노선으로, 메구로역에서 아카바네이와부치역까지 총 21.3km 구간을 운행한다. 1991년 고마고메역과 아카바네이와부치역 사이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되어 2000년 메구로역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도큐 메구로선,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소테츠선 등과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 2022년 4월부터 8량 편성 운행을 시작했으며, 2022년 시로카네타카나와역에서 시나가와역까지 연장 계획이 발표되었다. 난보쿠선은 완전 자동 운전 시스템과 스크린도어를 갖춘 것이 특징이며, 메구로역 - 시로카네타카나와역 구간은 도영 지하철 미타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남회선
    남회선은 핑둥과 타이둥을 잇는 대만 철도 노선으로, 일본 통치 시대에 계획되어 1992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20년에 전 노선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 199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예카테린부르크 지하철
    예카테린부르크 지하철은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 시를 운행하는 지하철 시스템으로 1991년 개통하여 현재 1개 노선, 9개 역으로 운영 중이며 노선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 도쿄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은 와코시역에서 신키바역을 잇는 도쿄 메트로의 노선으로, 세이부 유라쿠초선 및 도부 도조 본선과 직결 운행하며 도쿄 도심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핵심 노선망을 구성하고 있고, 1974년 개통 이후 단계적인 연장을 거쳐 1988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20년대 중반 개통을 목표로 지선 연장이 추진 중이다.
  • 도쿄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은 이케부쿠로, 신주쿠, 시부야 등 도쿄 부도심을 연결하는 도쿄 지하철 노선으로, 다양한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수도권 철도망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급행, 통근 급행, 각역 정차 등의 운행 형태로 운영된다.
  •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 다메이케산노역
    다메이케산노역은 도쿄 지하철 긴자선과 난보쿠선이 교차하는 역으로, 국회의사당앞역과 환승이 가능하며 일본 국회의사당 등 주요 시설이 인근에 위치해 있고, 1997년 난보쿠선 연장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 나가타초역
    나가타초역은 도쿄도 지요다구 나가타초에 위치하며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유라쿠초 선, 한조몬 선이 지나고 아카사카미쓰케역과 연결되어 긴자 선, 마루노우치 선으로 환승 가능한, 국회의사당 인근에 있는 섬식 승강장의 철도역이다.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개요
도쿄 메트로 남북선 로고
도쿄 메트로 남북선 로고
다른 이름N
노선 번호7
노선색에메랄드 그린
지도 색상청록색 (#)
시스템도쿄 지하철
상태운영 중
위치도쿄
기점메구로 역
종점아카바네이와부치 역
역 수19
수송 실적1,320,747천 인킬로 (2019년도)
일일 이용자 수522,736 (2017년)
개통일1991년 11월 29일
운영 주체도쿄 메트로
차량 기지오지 검차구
우라와미소노 차량기지 (사이타마 고속철도 차량)
모토스미요시 검차구 (도큐 차량)
카시와다이 차량센터 (소테츠 차량)
사용 차량도쿄 메트로 9000계 전동차
사이타마 고속철도 2000계 전동차
도큐 3000계 전동차
도큐 5080계 전동차
도큐 3020계 전동차
노선 길이21.3 km
선로 길이해당사항 없음
선로 수복선
궤간1,067 mm (협궤)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최고 속도80 km/h
최대 경사3.5%
최소 곡선 반지름160.351 m
신호 방식해당사항 없음
열차 보호 장치신 CS-ATC, ATO
해발 고도해당사항 없음
남북선 노선도
남북선 노선도
노선 정보
노선 기호N
노선 번호7호선
노선 색상 (표기)에메랄드 그린
기술 정보
최대 구배35‰
최소 곡선 반경 (구간)백금대 - 백금고륜간
운행 정보
폐색 방식속도 제어식

2. 역사

도쿄 메트로 南|남일본어北|북일본어선은 1991년 11월 29일 고마고메~아카바네이와부치 구간이 처음 개통되었다.[64][62] 초기에는 9000계 4량 편성 열차로 운행되었다.[64][62]

1995년 3월 20일에는 도쿄 지하철 사린 사건의 영향으로 오전 운행을 중지했다가 오후부터 재개했다.

1996년 3월 26일 요쓰야~고마고메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고,[68][66][69] 같은 해 2월 3일부터는 6량 편성 운행이 시작되었다.[66][67] 1997년 9월 30일에는 다메이케산노~요쓰야 구간이 추가로 개통되었다.[70][71]

2000년 9월 26일, 메구로~다메이케산노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고,[72][75][73] 도큐 메구로선과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74][75][73] 2001년 3월 28일에는 사이타마 고속철도선과도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76][77]

2008년 6월 22일, 도큐 메구로선 무사시코스기~히요시 구간 연장에 따라 상호 직결 운행 구간이 히요시까지 연장되었다.[79][80] 2022년 4월 1일부터는 8량 편성 운행이 시작되었으며,[89][90] 2023년 3월 18일부터 도큐 신요코하마선, 사가미 철도(소테츠선)와의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다.[91][92][93]

2024년 11월 5일에는 시나가와-시로카네타카나와 간 약 2.5 km의 공사가 착수되었다.[95]

2. 1. 노선 계획 및 건설

1962년 6월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6호에서 '''도쿄 7호선'''은 메구로 방면에서 이이쿠라카타마치, 나가타초, 이치가야, 고마고메, 오지를 거쳐 아카바네 방면에 이르는 노선으로 제시되었다.[14] 같은 해 8월 29일 건설성 고시로 메구로 - 이와부치초(현 아카바네이와부치) 간 20.5km의 도시계획이 결정되었다.[14]

제도고속도교통영단(현재 도쿄 메트로의 전신, 이하 영단)은 이를 바탕으로 1962년 10월 16일 7호선 가미오사키(메구로) - 아카바네초(기리가오카) 간 22.5km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를 신청했다.[14] 그러나 1964년 6월 4일 도쿄도 역시 7호선 메구로 - 아카바네 간 21.0km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를 신청하여 경합 상태가 되었다.[14][15]

1972년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15호에서는 사이타마 방면 연장 구간이 가와구치시 중앙부 - 우라와시 동부 간으로 변경되었다.[16] 1985년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7호에서는 메구로 - 기요마사코마에(현 시로카네타카나와역) 간을 6호선(도영 미타선)과 공용하고, 사이타마현 내는 하토가야시 중앙 경유, 히가시카와구치에서 우라와시 동부로 변경되었다.[17] 이 중 메구로 - 아카바네이와부치 간이 난보쿠선으로 순차 개통되었고, 아카바네이와부치 - 우라와미소노 간은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으로 개통되었다.

계획은 1960년대에 이루어졌지만, 도쿄도 기타구 니시가오카에 예정했던 차량기지 문제로 일시 중단되었다.[18] 1984년 4월 20일 면허 신청 후 22년 만에 전 노선 노선 면허를 취득했고,[18] 착공은 1986년에 이루어졌다.[18] 1991년 부분 개통, 2000년 전 노선 개통으로, 후발 노선이라 땅속 깊은 곳에 역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당초 건설 계획은 제1기 공사 구간을 고마고메 - 아카바네이와부치 간, 제2기 공사 구간을 메구로 - 고마고메 간으로 했지만, 제2기 공사 구간을 타메이케산노 - 고마고메 간(그 1), 메구로 - 타메이케산노 간(그 2)으로 분할하여 실제로는 3개 구간으로 나누어 건설되었다.[21] 제1기 구간은 순조롭게 건설되었지만, 제2기 구간은 매장 문화재 발굴(타메이케산노 - 이이다바시 간 에도 유적[19])과 주민 반대 운동(시로카네다이역 부근[20])으로 늦어져, 전 노선 개통 예정이 1995년 9월에서 2000년 9월로 크게 연기되었다.[21]

고마고메 - 타메이케산노 간을 한꺼번에 개통할 예정이었지만, 긴자선 신역 설치 공사 및 마루노우치선, 지요다선 기존 노선 교차부의 난공사로 시간이 걸려, 고마고메 - 요쓰야 간을 선행 개통하고, 타메이케산노까지의 개통은 1년 반 늦어졌다.[22]

노선 건설 비용 총액은 5,963억 8,900만 엔이다.[23] 용지비 383억 6,700만 엔, 토목비 3,320억 2,400만 엔, 차량비 329억 8,400만 엔, 기타 1,930억 1,400만 엔이다.[23][24] 건설 이자를 포함하며, 소비세는 제외한다.[23]

노선 명칭은 영단 직원 사내 공모 결과, '난보쿠선'이 1,741통으로 가장 많았고, 남북 방향 노선에 적합하여 선정되었다.[25] 난보쿠선은 한조몬선과 함께 지상 구간이 없는 노선이다.[26] 도쿄도 내 지하철 노선 중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도영 미타선과 함께 주오구를 지나지 않는다.

나가타초 - 이이다바시 간은 유라쿠초선과 평행하지만, 유라쿠초선은 고지마치 경유, 난보쿠선은 요쓰야 경유로 다르다. 요쓰야 - 이이다바시 간은 JR 주오·소부 완행선과 평행하다.

전 노선에서 ATO 자동 운전과 원맨 운전을 실시하며, 전 역에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27] 2015년 현재 도쿄 지하철에서 유일하게 천장까지 거의 완전하게 홈을 덮는 가와사키 중공업[33] 반밀폐식 풀 스크린 타입(스크린도어 문 닫힘 기계는 나브테스코제[34])을 채택했다.[35] 단, 도큐 관리 메구로역만 도큐 메구로선과 마찬가지로 가동식 홈 울타리(교산 제작소제[36])를 사용한다.

스크린도어 개구 폭은 ATO 장치 정위치 정지 정밀도 ±350mm를 고려하여 차량 도어 폭 1,300mm보다 700mm 넓은 2,000mm이다.[37] 당초 계획은 내구 연수 15년 이상, 500만 회 문 개폐에 견딜 수 있는 강도였다.[37]

스크린도어 개폐는 좌우 문이 각각 슬라이드한다. 단, 선두 및 마지막 차량 승무원실 쪽 문 한쪽은 승무원용 출입구 간섭을 막기 위해 2단 슬라이드하여 개문 시 수납 폭이 약 절반이 된다.

각 역 플랫폼은 8량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연장 170m가 확보되었다.[37] 단, 시로카네다이, 시로카네 타카나와, 타메이케산노, 나가타초, 요쓰야 역은 당초부터 8량분 홈을 공용했지만, 이 외 역은 일부를 제외하고 6량분만 공용하고, 홈 연장 공사까지 봉쇄했다.[37]

변전소는 아카바네이와부치, 오지,[38] 고마고메, 신고라쿠엔,[39] 신요츠야,[40] 히가시롯폰기,[41] 시로카네[42] 7곳이다. 아카바네이와부치 변전소는 8량화 시 설치 예정이었지만, 2023년 시점에도 미개설되었다.[43] 8량 편성 2분 30초 운전에도 대응할 수 있다.[44] 시로카네 변전소 외에는 역 구내에 설치했다.[44] 오지 변전소에는 영단 최초 전력 회생용 인버터, 신요츠야, 시로카네 변전소에도 전력 회생용 인버터를 설치했다.[44]

각 역 구간은 이수압식 쉴드 공법으로 건설되었으며, 대부분 복선 쉴드 구조지만, 일부 구간은 단선 쉴드 구조다.[45][46] 역부는 기본적으로 개착 공법으로 건설되었지만, 시로카네다이역 및 나가타초역은 역 쉴드 공법으로 건설되었다.[45] 나가타초역은 안경형 역 빗장 보 공법으로, 단선 쉴드 터널 사이에 승강장을 건설하고, "빗장 보"로 양쪽 승강장을 연결한다.[47]

총 22대 쉴드 머신이 사용되었다.[48][49] 건설 비용 절감을 위해 시모 - 아카바네이와부치 간 건설에는 유라쿠초선 타츠미 삼공구(타츠미 - 신키바 간)에서 사용한 쉴드 머신을 재이용했다.[50][48] 난보쿠선 타메이케산노 - 나가타초 간 사용 복선 쉴드 머신을 시로카네타카나와역 2개 인상선부 굴착에 재이용했다.[48]

특히 시로카네다이역 및 아자부주반역 부근 건설에는 "세계 최초", "세계 최대" 기술을 채용했다.[51]

시로카네다이역 건설에는 세계 최초 "착탈식 흙탕물 삼련형 역 쉴드 공법"을 채용했다.[51] 시로카네타카나와 - 시로카네다이 간 시로카네 환기소 수직구에서 복선 쉴드 터널 굴착, 시로카네다이역부 앞에서 양쪽에 역 쉴드 머신 장착, 삼련형 역 쉴드 기계로 개조, 시로카네다이역부 굴착, 역 종단부에서 복선 쉴드 기계로 복원, 복선 쉴드 기계로 메구로역까지 굴착하는 방식이다.[51][52][53]

시로카네타카나와 - 아자부주반 굴착에는 복선 본선과 유치선(아자부주반역 부근 유치선, 3선 구간 363.8m)을 3선 동시 굴착하는 대단면 쉴드 공사에 세계 최대(당시) "껴안기식 부모 자식 흙탕물 쉴드 공법"을 채용했다.[51][54][55][56][57] 3선 쉴드 기계(부모 기계, 외경 14.18m)에 복선 쉴드 기계(자식 기계, 외경 9.70m)를 내장, 아자부주반역 부근 유치선 3선 쉴드 기계 굴착, 자식 기계 사용 복선 쉴드 기계로 시로카네타카나와역까지 굴착하는 방식이다.[51]

이 두 기술 채용으로 경제성, 환경 보전 대책이 뛰어나 사단법인 토목학회 헤이세이 10년도 기술상을 수상했다.[58]

2. 2. 개통 및 연장

南|남일본어北|북일본어선은 1991년 11월 29일 고마고메~아카바네이와부치 구간이 처음 개통되었다.[64][62] 초기에는 9000계 4량 편성 열차로 운행되었다.[64][62]

1996년 3월 26일 요쓰야~고마고메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고,[68][66][69] 같은 해 2월 3일부터는 6량 편성 운행이 시작되었다.[66][67] 1997년 9월 30일에는 다메이케산노~요쓰야 구간이 추가로 개통되었다.[70][71]

2000년 9월 26일, 메구로~다메이케산노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고,[72][75][73] 도큐 메구로선과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74][75][73] 2001년 3월 28일에는 사이타마 고속철도선과도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76][77]

2008년 6월 22일, 도큐 메구로선 무사시코스기~히요시 구간 연장에 따라 상호 직결 운행 구간이 히요시까지 연장되었다.[79][80] 2022년 4월 1일부터는 8량 편성 운행이 시작되었으며,[89][90] 2023년 3월 18일부터 도큐 신요코하마선, 사가미 철도(소테츠선)와의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다.[91][92][93]

2024년 11월 5일에는 시나가와-시로카네타카나와 간 약 2.5 km의 공사가 착수되었다.[95]

2. 3. 기타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은 다른 노선에 비해 비교적 늦게 건설된 노선으로, 완전 자동 운전 및 스크린도어 등 첨단 기술을 갖추고 있다.[27] 1968년에 처음 제안되었으나, 여러 문제로 인해 1980년대에 들어서야 건설이 시작되었다.[18] 1991년 11월 29일 고마고메 ~ 아카바네이와부치 구간이 처음 개통된 이후, 순차적으로 노선이 연장되었다.

난보쿠선은 처음에는 4량 편성 열차로 운행되었으나, 1996년 요쓰야 연장과 함께 6량으로 증편되었고, 2022년 4월 1일부터는 8량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5]

2004년 테이토고속도교통영단 (TRTA) 민영화 이후 도쿄 메트로에 인수되었다.[7]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으로 도큐 신요코하마선 및 소테츠 신요코하마선을 통해 사가미 철도와의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다.[8]

난보쿠선은 전 구간에서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에 의한 자동 운전과 1인 승무를 실시하며,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27] 도쿄 메트로 노선 중에서는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과 함께 지상 구간이 없는 노선이다.[26]

메구로역을 제외한 모든 역에 천장까지 거의 완전히 덮는 반밀폐형 풀 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35] 메구로역은 도큐 메구로선과 동일한 가동식 홈 울타리를 사용한다. 스크린도어 개구 폭은 2,000mm로, 차량 도어 폭(1,300mm)보다 넓게 설계되어 있다.[37]

각 역의 승강장은 8량 편성에 대응할 수 있도록 170m로 건설되었다.[37] 변전소는 아카바네이와부치(미개설), 오지,[38] 고마고메, 신고라쿠엔,[39] 신요츠야,[40] 히가시롯폰기,[41] 시로카네[42] 7곳에 설치되어 8량 편성, 2분 30초 간격 운전이 가능하다.[44]

아자부주반역 - 롯폰기잇초메역 구간에서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과 교차하지만, 두 노선 모두 역이 없어 환승은 불가능하다. 모리 빌딩이 건설을 추진하여 2023년 가을에 완성될 아자부다이 힐스 구획 내에 롯폰기잇초메역과 히비야선 가미야초역을 잇는 지하 통로가 정비될 예정이다.[183]

도쿄 메트로 노선 중 도쿄 메트로 긴자선,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과 함께 여성 전용 차량이 없다. 난보쿠선은 메구로역을 제외한 모든 역에 반밀폐형 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개통 이후 인명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

3. 특징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은 도큐 메구로선을 경유하여 히요시까지,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을 통해 우라와미소노까지 직통 운행한다. 시로카네타카나와역메구로역 사이 구간은 도에이 미타선과 시설을 공유하며, 이는 도쿄 지하철에서 유일한 사례이다. 이 구간의 요금은 승객에게 가장 유리한 체계(현재는 도쿄 메트로 요금)가 적용된다. 노선도에서 난보쿠선은 에메랄드색()으로 표시되며, 역 번호는 "N"으로 시작한다.

시로카네타카나와역-메구로역 구간은 도에이 미타선과 선로 및 역사를 공유한다. 이 때문에 어느 노선으로 간주하느냐에 따라 적용되는 운임이 달라지는데,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구간운임 적용
메구로 - 시로카네타카나와 - 아자부주반도쿄 메트로 운임
메구로 - 시로카네타카나와 - 미타도영 지하철 운임
메구로 - 시로카네타카나와이용자에게 더 유리한 운임 (현재는 도쿄 메트로 운임).[132] 정기권은 할인율이 다르므로 구간이나 종류에 따라 더 저렴한 운임 적용.[133][134]



이 구간은 도에이 미타선으로도 취급되어, '도쿄도 실버 패스' 등의 승차권으로 이용할 수 있다.[135]

3. 1. 노선 데이터


  • 노선 거리(영업 킬로미터):
  • * 도쿄 메트로(제1종 철도 사업자):
  • ** 메구로 - 아카바네이와부치 간 21.3 km
  • * 도쿄 도 교통국(제2종 철도 사업자):
  • ** 메구로 - 시로카네타카나와 간 2.3 km
  • 궤간: 1,067 mm[11]
  • 역 수: 19개 역(기·종점역 포함)[11]
  • 복선 구간: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전 구간(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11]
  • 폐색 방식: 속도 제어식(신CS-ATCATO(전 구간)
  • 열차 무선 방식: 공간파 무선(SR) 방식
  • * 누설 동축 케이블(LCX)을 사용한 공간파 방식으로, 긴자선에 디지털 공간파 무선(D-SR)이 도입되기 전까지는 도쿄 메트로에서는 유일한 SR 방식이었다.
  • 최고 속도: 80 km/h[11]
  • 표정 속도: 32.6 km/h (2021년 4월 1일 현재)[11]
  • 평균 속도: 40.6 km/h (2021년 4월 1일 현재)[11]
  • 전 노선 소요 시간: 39분 15초 (2021년 4월 1일 현재)[11]
  • 차량 사업소: 오지 검차구
  • 공장: 아야세 공장(지요다선 내)

3. 2. 7호 비전

본 노선(난보쿠선)은 "21세기를 지향하는 편리하고 쾌적하며 매력적인 지하철"을 목표로 "7호 비전"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바탕으로 건설되었다.[27][28]

7호 비전은 "편리성 향상·쾌적성 향상", "원맨 운전 실시", "스크린도어 설치", "건설비·운영비 절감"을 목표로 했다.[27] 이를 바탕으로 각 역의 스테이션 컬러, 개찰구 주변, 승차권 판매소, 미디어 월, 심볼 기둥, 가동 벤치, 만남의 코너, 출입구 상옥 등 지하철 역 설비에 새로운 디자인을 채용했다.[28]

편리성 향상을 위해 전 역에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고, 교통 약자를 배려하여 엘리베이터(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휠체어 대응 에스컬레이터)와 휠체어용 화장실을 전 역에 설치했다.[27] 개찰구 부근과 역 플랫폼에는 LED식 열차 안내 표시를 설치했다.[27]

"7호 타입 출입구"의 예. 지붕 위의 S마크나 그 후신인 하트 M마크의 설치 자체가 개설 당초부터 되어 있지 않은 것(오지카미야 역 1번 출입구)


도쿄 대학 앞 역] 구내에 있는 "만남의 코너"


메구로 역을 제외한 각 역에는 6색의 스테이션 컬러를 3역씩 배치하고, 그것을 스크린도어의 문 부분, 에스컬레이터의 손잡이(벨트), 미디어 월, 가동 벤치 (남북선 역 공간에 맞도록, 미사용 시에는 위로 접히는 벤치) 등에 배색하고 있다.[28]

각 역의 스테이션 컬러 배치는 다음과 같다.

[28][29]

일부 역에서는 역 플랫폼의 맞은편 벽을 갤러리 공간으로 간주하여, 기업의 협찬으로 그래픽 디자인 (아트 월)을 정비했다.[27]

개찰구는 역 아치형 천장으로 하고, 승객의 동선에 대응한 슬릿 조명, 바닥면에도 동선에 대응한 디자인을 시공했다.[28] 윈드 래치(역 창구)는 오픈 카운터로 하고, 역무원 1명으로 자동 발매기와 자동 개찰의 안내를 할 수 있는 구조로 했다.[30] 일부 역에서는 개찰구 주변의 기둥에 특징적인 디자인을 시공한 "심볼 기둥"을 설치했다.[28] 각 역의 개찰구 부근의 포스터 게시 공간에는 지역의 이미지를 요철을 준 벽면에 표현한 "미디어 월"을 설치했다.[27][28](각 역마다 모티프가 다르다) 일부 출입구는 "7호 타입 출입구"라고 불리는, 유리를 다용한 특징적인 디자인을 채용했다.[27][30]

아카바네이와부치, 시모, 오지, 고마고메 각 역 콘코스에는 "만남의 코너"를 설치하여, 휴식을 위한 의자나 테이블, 급차기(후에 철거)를 설치했다.[27][28] 그 후 노선 연장으로 혼코마고메, 도다이마에, 다메이케산노 각 역에서도 동일한 공간이 마련되었지만,[37] 이후의 개장 등으로 현재는 혼코마고메, 도다이마에, 다메이케산노 3역에만 남아있다.

남보쿠선은 다른 도쿄 메트로 노선과 전혀 연락이 없는 독립 노선이었기 때문에, 도쿄도내의 지하철에서는 처음으로 원맨 운전·스크린도어 설치 외에, 각종 실험적인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31] 이후의 파스넷의 기반이 되는 선불 카드식 승차 카드 "NS 메트로 카드" (1996년에 "SF 메트로 카드"로 이행)를 처음부터 도입했다.[32][62]

3. 3. 운임 계산 특례

시로카네타카나와역메구로역 사이 구간은 도에이 미타선과 선로 및 역사를 함께 사용하는데, 이는 도쿄 지하철에서 유일한 사례이다.[131] 이 구간 운임은 도쿄 메트로와 도쿄 도 교통국 간 협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131]

구간운임 적용
메구로 - 시로카네타카나와 - 아자부주반도쿄 메트로 운임
메구로 - 시로카네타카나와 - 미타도영 지하철 운임
메구로 - 시로카네타카나와이용자에게 더 유리한 운임 (현재는 도쿄 메트로 운임).[132] 정기권은 할인율이 다르므로 구간이나 종류에 따라 더 저렴한 운임 적용.[133][134]



이 구간은 도에이 미타선의 일부이므로, '도쿄도 실버 패스'나 '도영 마루고토 킷푸' 등 도영 지하철에서 유효한 승차권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도쿄 메트로 노선에는 적용되지 않음)[135]

4. 운행 형태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은 메구로역에서 도큐 메구로선도큐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소테츠 신요코하마선의 니시야역에서 소테츠 본선의 에비나역 및 소테츠 이즈미노선의 쇼난다이역까지, 아카바네이와부치역에서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사이타마 스타디움 선)의 우라와미소노역까지 각각 상호 직결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시로카네타카나와역 - 메구로역 구간은 도영 지하철 미타선과의 공용 구간이므로, 미타선의 열차도 운행한다. 그 때문에, 시로카네타카나와역 발착 열차는 해당 역에서 도영 지하철 미타선의 도큐 메구로선 직통 열차와 연결되며, 반대 열차도 있다. 도큐선 직통 열차에 관해서는 도큐선 내에서의 열차 종류(각역 정차, 급행)로 안내하고 있다.

2006년 9월 25일부터 도큐 메구로선 직통 열차의 일부가 도큐선 내에서 급행열차로 운행을 시작했지만, 그 후에도 난보쿠선 (및 상호 직결 운전을 하고 있는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내에서는 모든 열차가 각역 정차로 운행하고 있다. 난보쿠선 내에서의 종별 표시에 대해서는 메구로 방면행 급행 열차만 실시하며, 당초에는 각역 정차에서는 행선지만 표시되었지만, 2018년경부터 일부 열차에서 "각역 정차"와 종별도 표시하게 되었다. 2019년 9월 시점에서는 모든 열차에서 "각역 정차"로 표시하고 있다.

2009년 6월 6일부터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의 낮 시간대 운행 계획이 패턴화됨에 따라, 낮 시간대에는 하토가야역우라와미소노역 발착 열차가 번갈아 운행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낮 시간대에 하토가야역 발착 급행 열차가 운행하게 되었다.

2017년 3월 25일부터 야간 열차를 중심으로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에 직통하지 않고 아카바네이와부치역에서 메구로 방면으로 회차하는 운행이 몇 왕복 설정되었으며, 그 후 2018년 3월 30일부터 낮 시간대의 일부 열차에도 아카바네이와부치역에서 메구로 방면으로 회차하는 운행이 늘었고[136], 2019년 3월 16일부터는 낮 시간대의 절반이 아카바네이와부치역에서 메구로 방면으로 회차하게 되었다[137]

메구로역에 도착하는 열차는 모두 도큐 메구로선으로 직결 운행했으나, 2021년 3월 13일부터 막차에 한해 메구로역을 종착역으로 하는 열차가 설정되었다[138]

낮 시간대 운행 패턴
(메구로 - 시로카네타카나와 구간의 선로를 공유하는 도영 지하철 미타선의 열차 포함)
노선\역명도큐선
직통
메구로시로카네타카나와아카바네이와부치사이타마 고속철도선
직통
운행
본수
난보쿠선도큐선 내
급행
신요코하마1본우라와미소노
1본(아카바네이와부치 회차)
도큐선 내
각역 정차
신요코하마1본우라와미소노
1본(아카바네이와부치 회차)
히요시1본우라와미소노
1본(아카바네이와부치 회차)
(시로카네타카나와 회차)2본우라와미소노
2본(아카바네이와부치 회차)
미타선도큐선 내
급행
에비나2본니시타카시마다이라
도큐선 내
각역 정차
히요시4본


5. 차량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종류차량비고
자사 차량9000계 (6량·8량 편성)자체 차량 탑재 멜로디 (후술)와 2단 표시식 LED에 의한 차내 안내 표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직결 운행 차량도큐 3000계 (8량 편성)
도큐 3020계 (8량 편성)[5]
도큐 5080계 (8량 편성)
사이타마 고속철도 2000계 (6량 편성)
소테츠 21000계 (8량 편성)
공용 구간
운행 차량
(도쿄도 교통국)
도영 6300형, 6500형메구로 - 시로카네타카나와 구간에만 운행



1996년 2월 3일, 요츠야역 연장 개업을 앞두고 4량 편성에서 6량 편성 운전을 시작했다.[66][67] 당시 고마고메역 - 아카바네이와부치역 간의 운용 횟수가 가장 적었기 때문에, 신규 개업용으로 제작한 6량 편성과 4량에서 6량으로 개조한 예비 차량을 사용하여 6량 편성화 작업을 진행했다.

메구로역 연장 개업 시 8량 편성화 계획이 있었으나,[139] 예상보다 이용객 수가 적어 당분간 6량 편성으로 운용하게 되었다.[140]

도쿄 메트로 9000계


사이타마 고속철도 2000계


도큐 3000계


도큐 3020계


소테츠 21000계


과거에는 주로 휴일에 요코하마 고속철도 미나토미라이선모토마치·주카가과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우라와미소노역 사이에 임시 열차 "미나토미라이호"가 운행되었으며,[145][146] 도쿄 만 불꽃 축제 개최일에는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신키바역으로 직통하는 임시 열차 "레인보우호"가 운행되기도 했다.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축구 경기가 개최될 때는 우라와미소노역 발착 열차를 증편하기도 했다.

열차 번호 끝의 알파벳으로 어떤 회사의 차량이 운행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알파벳의미비고
S도쿄 메트로 차량30S - 78S의 짝수 번호
M사이타마 고속철도 차량80M 이후의 짝수 번호
K도큐 차량01K - 48K
G소테츠 차량31G - 43G[150]
T도 교통국 차량31T 이후의 홀수


5. 1. 자사 차량


  • 9000계 (6량·8량 편성)는 자체 차량 탑재 멜로디 (후술)와 2단 표시식 LED에 의한 차내 안내 표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5차차 (9122F·9123F)와 B수리 공사 시공차 (9101F - 9108F)의 차내 안내 표시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변경되었다.[5]


9000계 (1 - 4차차 B수리 공사 시공차)


9000계 (1 - 4차차)

5. 2. 직결 운행 차량



2023년 3월 18일 소테츠선과의 직통 운전을 개시하기 위해[91][92], 2022년 4월 1일부터 8량 편성화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도큐 소속 1개 편성이 8량으로 변경되었으며, 2023년까지 도큐 소속 모든 차량이 8량 편성이 되었다. 2023년에 새롭게 직통 운전을 시작한 소테츠 차량은 모두 8량 편성으로 운행하고 있다.[89][90]

2023년 12월 13일, 도쿄 메트로는 자사 차량인 9000계의 첫 8량 편성이 12월 16일에 영업 운전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94]

5. 3. 공용 구간 운행 차량 (도쿄도 교통국)

東京都交通局일본어 (도영 지하철) 차량은 6300형 (6량 편성)과 6500형 (8량 편성)이 운행된다.

6300형

6. 역 목록

거리누적
거리소재지N-01메구로目黒|메구로일본어도쿄 급행 전철 메구로 선 (MG 01, 직결 운행), 미타 선 (I-01), 야마노테 선 (JY 22)0.0도쿄도시나가와구N-02시로카네다이白金台|시로카네다이일본어1.31.3미나토구N-03시로카네타카나와白金高輪|시로카네타카나와일본어미타 선 (I-03)1.02.3N-04아자부주반麻布十番|아자부주반일본어오에도 선 (E-22)1.33.6N-05롯폰기 1초메六本木一丁目|롯폰기 1초메일본어1.24.8N-06다메이케산노溜池山王|다메이케산노일본어긴자 선 (G-06), 마루노우치 선 (곳카이기지도마에 역, M-14), 지요다 선 (곳카이기지도마에 역, C-07)0.95.7지요다구N-07나가타초永田町|나가타초일본어유라쿠초 선 (Y-16), 한조몬 선 (Z-04), 긴자 선 (아카사카미쓰케 역, G-05), 마루노우치 선 (아카사카미쓰케 역, M-13)0.96.6N-08요츠야四ツ谷|요쓰야일본어마루노우치 선 (M-12), 주오 쾌속선 (JC 04), 주오·소부 완행선 (JB 14)1.37.9신주쿠구N-09이치가야市ケ谷|이치가야일본어유라쿠초 선 (Y-14), 신주쿠 선 (S-04), 주오·소부 완행선 (JB 15)1.08.9N-10이다바시飯田橋|이다바시일본어도자이 선 (T-06), 유라쿠초 선 (Y-13), 오에도 선 (E-06), 주오·소부 완행선 (JB 16)1.110.0N-11고라쿠엔後楽園|고라쿠엔일본어마루노우치 선 (M-22), 미타 선 (가스가 역, I-13), 오에도 선 (가스가 역, E-07)1.411.4분쿄구N-12도다이마에東大前|도다이마에일본어1.312.7N-13혼코마고메本駒込|혼코마고메일본어0.913.6N-14고마고메駒込|고마고메일본어야마노테 선 (JY 10)1.415.0도시마구N-15니시가하라西ケ原|니시가하라일본어1.416.4기타구N-16오지王子|오지일본어게이힌 도호쿠 선 (JK 36), 아라카와 선 (오지 역 앞 정류장, SA 16)1.017.4N-17오지카미야王子神谷|오지카미야일본어1.218.6N-18시모志茂|시모일본어1.620.2N-19아카바네이와부치赤羽岩淵|아카바네이와부치일본어사이타마 고속 철도 사이타마 고속 철도선 (SR 19, 직결 운행)1.121.3

7. 연장 계획 (시나가와역 - 시로카네타카나와역)

2022년 1월 28일, 도쿄 메트로는 시로카네타카나와역에서 시나가와역까지 2.5km 연장선을 건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9] 이 연장선 건설에는 1.31조 (약 13조 1000억 원)의 비용이 예상되며, 2030년대 중반에 영업 운전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 노선은 2027년에 개통 예정인 주오 신칸센과의 연결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2016년 교통정책심의회 답신 제198호에서 품천역 - 시로카네타카나와역 간(2.5 km)이 "도심부·시나가와 지하철 구상"으로 언급되었으며, 2022년 도쿄 메트로는 난보쿠선 연장으로 이 구간의 철도 사업 허가를 신청했고,[86] 3월 28일자로 국토교통대신으로부터 제1종 철도 사업 허가를 받았다.[87][88] 이 노선은 롯폰기, 아카사카 등 도심부와 리니어 주오 신칸센의 터미널이 될 시나가와역 및 도시 집적이 진행되는 동역 부근을 잇는 노선으로 도쿄도가 계획했다.

2019년 3월 국토교통성의 "도쿄권 국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철도 네트워크 검토회"[160] 제2회 검토회에서 공표된 안[161]은 다음과 같다.

항목내용
건설 거리2.5km
역 수2개 역 (기점, 종점 포함. 중간역 미설치)
소요 시간약 4분
열차 운행 횟수12회/시
운임 수준도쿄 메트로와 동등 (도쿄 메트로 기존 노선과는 합산 운임)
정비 주체제3섹터 (지하 고속 철도 정비 사업비 보조 적용)
사업비8000억 (건설비 7630억, 차량비 370억)
건설 기간10년



시나가와역 위치를 국도 15호선에 평행하게 하는 경우(A 루트)와 직교하는 경우(B 루트)의 2가지 패턴으로 검토한 결과, 수송 인원은 A 루트가 13.4 - 14.3만 명/일, B 루트가 7.8만 명/일로 A 루트가 선정되었다. 비용 편익비는 2.57 - 3.14, 누적 자금 수지는 16 - 19년차에 흑자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며, 도쿄 메트로 기존 노선 구간을 포함해도 24 - 28년차에 누적 자금 수지가 흑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검토회에서는 사업 효과·영향을 다음과 같이 추산하고 있다.[162]



2014년 7월, 도쿄도 "시나가와역·다마치역 주변 도시 정비 가이드라인 2014"에서 시나가와역 동서 관통 철도 신선 검토 내용이 담겼다.[168]

2015년 7월 10일, 도는 "광역 교통 네트워크 계획 (교통 정책 심의회 답신 위한 검토 정리)"[169]에서 "정비 검토 노선" 중 하나로 포함했다.[170] 마스조에 요이치 당시 도쿄도지사는 "도시 집적 진행 시나가와-도심부 간 연결성 부족으로 연결 노선 검토 필요"라고 설명했다.[171]

2016년 4월 교통정책심의회 답신 제198호[172]에서 "국제 경쟁력 강화 기여 철도 네트워크 프로젝트"로 채택되었다.

2018년 5월 15일, 국토교통성 "도쿄권 국제 경쟁력 강화 기여 철도 네트워크 검토회" 제1회 검토회에서 도쿄 8호선(유라쿠초선) 도요스역 - 스미요시역 간 연장(「도쿄 직결 철도」참조)과 함께 조사 대상 노선으로 선정되었다.[173] 도쿄 메트로는 완전 민영화 방침으로 사업 주체 소극적 자세였으나, 2021년 7월 8일 제5회 소위원회 및 7월 15일 검토회 답신에서 도쿄 메트로 주체 정비 추진 적절 초안 제시, 국가 및 도쿄도 건설비 보조 방향성 제시.[174][175][176][177] 국토교통성은 2022년도 예산안에 "도심부·시나가와 지하철 정비" 사업 예산 계상, 환경 기준 평가 착수 예정이었다.[178][179] 도쿄 메트로는 2022년 1월 28일 시나가와 - 시로카네타카나와 간 약 2.5km 철도 사업 허가 국토교통대신 신청,[86] 3월 28일 제1종 철도 사업 허가.[87][88] 2024년 11월 5일 착수,[95] 2030년대 중반 개업, 사업비 1.31조 예정.[86]

2022년 6월 초, 도쿄도-도쿄 지하철, 시나가와-시로카네타카나와 간 연장 도시 계획 초안 설명회 개최 발표, 상세 노선 공개.[180][181] 시나가와역(가칭) 출발 노선은 서쪽으로 굽어 2032년도 완공 예정 환상 4호선 아래, 도영 지하철 아사쿠사선다카나와다이역 북쪽 경유, 난보쿠선(도영 미타선) 시로카네다이역 남쪽에서 북동쪽 방향, 메구로 거리 아래 경유, 시로카네타카나와역 도착.[181] 역 간 복선 실드 공법, 시나가와역, 회차 설비 개착 공법 채용 예정.[182] 시나가와역 1면 2선 건설 예정.[182]

참조

[1] 웹사이트 Tokyo Metro station ridership in 2017 http://www.train-med[...] Train Media (sourced from Tokyo Metro) 2018-07-23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웹사이트 東急目黒線・東京メトロ南北線・埼玉高速鉄道線で8両編成の運転開始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2-04-09
[6] 웹사이트 開業区間の運賃及び相互直通運転に伴う運行形態を決定 http://www.tokyometr[...] 2000-08-30
[7] 웹사이트 「営団地下鉄」から「東京メトロ」へ https://www.tokyomet[...] 2006-07-08
[8] 웹사이트 ~神奈川県央地域及び横浜市西部から東京・埼玉に至る広域的な鉄道ネットワークの形成~ https://www.tokyomet[...] 2022-01-27
[9] 웹사이트 有楽町線延伸(豊洲・住吉間)及び南北線延伸(品川・白金高輪間)の鉄道事業許可を申請しました。 https://www.tokyomet[...] 2022-01-28
[10] 웹사이트 東京都統計年鑑(平成31年・令和元年)/運輸 https://www.toukei.m[...] 東京都 2021-07-31
[11] 웹사이트 令和3年度 地下鉄事業の現況 http://www.jametro.o[...] 一般社団法人日本地下鉄協会 2021-10-17
[12] 문서
[13] 웹사이트 東京メトロ オープンデータ 開発者サイト https://developer.to[...] 東京地下鉄 2021-06-04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웹사이트 プラットホームドア 納入実績 http://nabco.nabtesc[...] ナブテスコ 2021-04-11
[35] 문서
[36] 웹사이트 株式会社 京三製作所 2008年3月期決算説明会 http://www.kyosan.co[...] 京三製作所 2021-01-30
[37] 문서 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p.713
[38] 문서 王子駅ではなく王子神谷駅にある
[39] 문서 後楽園駅。「新」が付くのは丸ノ内線に後楽園変電所があるため
[40] 문서 四ツ谷駅。「新」が付くのは丸ノ内線に四ツ谷変電所(所在地は[[四谷三丁目駅]])があるため
[41] 문서 六本木一丁目駅。東六本木は同駅の仮称段階での命名
[42] 문서 白金高輪 - 白金台間の白金換気室
[43] 문서 東京地下鉄「東京メトロハンドブック2023」pp.140 - 141
[44] 문서 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pp.749 - 754
[45] 문서 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p.399
[46] 문서 白金高輪付近・麻布十番 - 六本木一丁目間・永田町 - 四ツ谷間・西ケ原 - 王子間
[47] 문서 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pp.532 - 533
[48] 문서 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pp.407・454 - 462・627 - 634
[49] 문서 内訳は単線シールド機8台、複線シールド機12台、抱き込み式親子シールド機1台、着脱式三連型駅シールド機1台
[50] 문서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pp.705 - 708
[51] 문서 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pp.401 - 402
[52] 간행물 より便利な地下鉄を目指して 「着脱式泥水三連型駅シールド機」が発進いたします。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1997-09-26
[53] 간행물 より便利な地下鉄を目指して 「着脱式泥水三連型駅シールド機」が到達し、「複線断面シールド機」に復元され目黒駅(仮称)に向けて発進いたします。-地下鉄7号線(南北線)目黒工区-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1998-05-27
[54] 간행물 より便利な地下鉄を目指して 「抱き込み式親子泥水シールド機」が発進いたしました。─地下鉄7号線(南北線)南麻布工区─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1997-07-02
[55] 간행물 より便利な地下鉄を目指して「抱き込み式親子泥水シールド機」の親機が到達し、「子機(複線断面シールド機 )」が発進いたします。-地下鉄7号線(南北線)古川橋工区-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1998-05-22
[56] 웹사이트 工事実績 > 東京メトロ南北線麻布十番駅留置線トンネル https://www.satokogy[...] 佐藤工業 2021-04-11
[57] 웹사이트 抱き込み式親子シールド https://www.satokogy[...] 佐藤工業 2021-04-11
[58] 문서 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巻頭
[59] 문서 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p.24
[60] 문서 東京都の路線免許申請では桐ケ丘への延長はなく、岩淵町が終点である
[61] 문서 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p.227 - 228
[62] 문서 『鉄道ジャーナル』通巻414号、p.144
[63] 문서 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p.20
[64] 논문 営団南北線の開業 電気車研究会 1992-02-01
[65] 문서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p.292
[66] 논문 1996.3.26 営団南北線四ツ谷延伸開業 電気車研究会 1996-06-01
[67] 문서 『鉄道ファン』通巻521号、p.50
[68] 뉴스 南北線駒込 - 四ツ谷 きょう延伸開業 営団後楽園駅で記念式典 交通新聞社 1996-03-26
[69] 문서 『鉄道ジャーナル』通巻414号、p.145
[70] 간행물 人にやさしい、より便利な地下鉄を目指して 平成9年9月30日(火)南北線四ツ谷・溜池山王間 銀座線溜池山王駅が開業いたします。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1997-09-01
[71] 간행물 平成9年9月30日、都心ネットワークがさらに充実! 営団地下鉄南北線 四ツ谷-溜池山王間延伸開業 交友社 1997-12-01
[72] 보도자료 平成12年9月26日 営団南北線 溜池山王・目黒間、都営三田線 三田・目黒間開業 東急目黒線との相互直通運転開始 開業区間の運賃及び相互直通運転に伴う運行形態を決定 http://www.tokyometr[...] 帝都高速度交通営団/東京急行電鉄/東京都交通局 2000-08-30
[73] 뉴스 営団南北線・都営三田線 目黒延伸、全線が開業 交通新聞社 2000-09-27
[74] 보도자료 平成12年9月26日(火)開業 営団南北線 溜池山王・目黒間 都営三田線 三田・目黒間 東急目黒線 武蔵小杉まで相互直通運転を開始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東京急行電鉄/東京都交通局 2000-08-08
[75] 보도자료 営団地下鉄南北線・都営三田線と相互直通運転を開始 平成12年9月26日(火)から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0-02-07
[76] 보도자료 首都圏のあらたな動脈が完成! 3月28日(水)南北線と埼玉高速鉄道線との相互直通運転開始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2001-02-20
[77] 보도자료 3月28日(水)、目黒線が埼玉高速鉄道線と相互直通運転を開始 相互直通運転に先立ち、3月23日(金)、目黒線の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1-02-21
[78] 보도자료 「営団地下鉄」から「東京メトロ」へ https://www.tokyomet[...] 営団地下鉄 2004-01-27
[79] 보도자료 平成20年6月22日(日)東京メトロ日比谷線・南北線のダイヤ改正 増発による混雑緩和と、お客さまの利便性向上を図り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08-04-18
[80] 보도자료 6月22日(日)、東急目黒線を日吉駅へ延伸、鉄道ネットワークを拡充します 目黒線・東横線のダイヤ改正を実施し、利便性を向上させます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8-04-18
[81] 보도자료 平成24年3月30日(金)開始! 東京メトロのトンネル内で携帯電話が利用可能に! 南北線 本駒込駅〜赤羽岩淵駅間からスタート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NTTドコモ/KDDI/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イー・アクセス 2012-03-28
[82] 보도자료 東京メトロのトンネル内携帯電話利用可能エリアが大幅に拡大しさらに便利になります! 丸ノ内線 茗荷谷駅〜淡路町駅間 日比谷線 日比谷駅〜中目黒駅間 千代田線 綾瀬駅〜湯島駅間 南北線 後楽園駅〜本駒込駅間 東京メトロホームページで利用可能区間のご案内を始め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2-08-27
[83] 보도자료 東京メトロ一部路線における携帯電話のサービスエリア拡大について ~9月13日(木)より銀座線、南北線の一部区間でもサービス開始~ https://www.softbank[...] NTTドコモ/KDDI/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イー・アクセス 2012-09-06
[84] 보도자료 平成25年3月21日(木)正午より、東京メトロの全線で携帯電話が利用可能に!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NTTドコモ/KDDI/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イー・アクセス 2013-03-18
[85] 보도자료 南北線の発車メロディをリニューアル! 各駅に新しい発車メロディを導入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5-03-02
[86] 보도자료 〜より便利で持続可能な社会を目指して〜 有楽町線延伸(豊洲・住吉間)及び南北線延伸(品川・白金高輪間)の鉄道事業許可を申請しました。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2-01-28
[87] 보도자료 東京地下鉄株式会社「有楽町・南北線の延伸」に係る鉄道事業許可について 〜有楽町線・南北線の延伸により、国際競争力の強化の拠点である臨海副都心やリニア中央新幹線の始発駅となる品川駅とのアクセス利便性が向上します〜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鉄道局都市鉄道政策課 2022-03-28
[88] 보도자료 〜より便利で持続可能な社会を目指して〜 有楽町線延伸(豊洲・住吉間)及び南北線延伸(品川・白金高輪間)の鉄道事業許可を受けました〈所要時間短縮により、交通利便性・速達性が向上〉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2-03-28
[89] 보도자료 南北線で8両編成列車の運行を開始します! 〜新たに15駅でホームを延伸、5駅でエスカレーター・階段を増設しました〜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2-01-27
[90] 웹사이트 東急目黒線・東京メトロ南北線・埼玉高速鉄道線で8両編成の運転開始 https://railf.jp/new[...] 交友社 2022-04-09
[91] 보도자료 2023年3月(予定)相鉄新横浜線・東急新横浜線開業!鉄道がもっと便利になります 〜神奈川県央地域及び横浜市西部から東京・埼玉に至る広域的な鉄道ネットワークの形成〜 https://www.tokyomet[...] 相模鉄道/東急電鉄/東京地下鉄/東京都交通局/埼玉高速鉄道/東武鉄道/西武鉄道 2022-01-27
[92] 보도자료 2023年3月18日(土)相鉄新横浜線・東急新横浜線開業に伴い形成される 広域鉄道ネットワークの直通運転形態および主な所要時間について https://www.tokyomet[...] 相模鉄道/東急電鉄/東京地下鉄/東京都交通局/埼玉高速鉄道/東武鉄道/西武鉄道 2022-12-16
[93] 보도자료 2023年3月ダイヤ改正のお知らせ 東西線、千代田線、有楽町線、半蔵門線、南北線、副都心線でダイヤ改正を行い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2-12-16
[94] 보도자료 南北線9000系の8両編成列車運行開始!2023年12月16日(土)より運行開始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3-12-13
[95] 보도자료 新たな未来へ向けた第一歩! 有楽町線延伸(豊洲・住吉間)及び南北線延伸(品川・白金高輪間)新線プロジェクトが本日ついに始動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4-11-05
[96] 문서 東京陸軍兵器支廠赤羽火薬庫跡に建設された桐ケ丘都営住宅と陸軍被服本廠跡に建設された日本住宅公団赤羽台団地。
[97] 서적 北区史 現代行政編 北区史編纂調査会 1994-03
[98] 문서 現在の北区西が丘3丁目国立西が丘サッカー場、国立スポーツ科学センター、ナショナルトレーニングセンターが集まる一帯の地区。
[99] 문서 帝都高速度交通営団『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pp.9・227 - 228では桐ケ丘地区が車両基地の予定地とあるが、正しくは西が丘地区および赤羽西地区である。
[100] 문서 現在の北区西が丘3丁目国立西が丘サッカー場、国立スポーツ科学センター、ナショナルトレーニングセンターが集まる一帯の地区が予定地であった。
[101] 문서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pp.2 - 6。
[102] 문서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pp.14 - 15。
[103] 문서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p.IV。
[104] 문서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pp.16 - 22。
[105] 문서 帝都高速度交通営団『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p.936にある「車両基地概要」記事の「陸上自衛隊十条支処武器補給処赤羽地区跡」とは当地区のことである。『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では、最初の西が丘サッカー場付近の計画は、記載されていない。
[106] 문서 都営新宿線
[107]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08]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09]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10]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11]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12]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13]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14]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15] 서적 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
[116]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17]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18] 판결문 東京地方裁判所 昭和50年(行ウ)11号 判決 https://daihanrei.mi[...] 大判例
[119]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20] 서적 北区史 現代行政編 北区史編纂調査会 1994-03
[121] 문서
[122]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23] 웹사이트 会社概要・沿革 https://web.archive.[...]
[124]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25] 서적 幻の地下鉄車庫・引込線
[126] 서적 東京地下鉄道千代田線建設史
[127] 서적 東京地下鉄道千代田線建設史
[128] 서적 東京地下鉄道千代田線建設史
[129] 서적 東京地下鉄道千代田線建設史
[130] 서적 東京地下鉄道南北線建設史
[131] 웹사이트 運賃・乗車券・定期券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20-05-28
[132] 문서
[133] 문서
[134] 웹사이트 特定区間の運賃変更について https://www.kotsu.me[...] 2022-12-22
[135] 웹사이트 東京都シルバーパスで乗車できるバス路線等 - 東京都シルバーパスのご案内 https://www.tokyobus[...] 東京バス協会 2020-05-28
[136] 간행물 3/30(金)半蔵門線・南北線のダイヤを改正します 朝ラッシュを中心に列車を増発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8-02-15
[137] 간행물 2019年3月16日(土)日比谷線、半蔵門線、有楽町線・副都心線、南北線のダイヤを改正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9-01-29
[138] 간행물 2021年3月13日(土)東京メトロ全線でダイヤ改正 全線で終電時刻を繰上げ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1-01-26
[139] 뉴스 6両か、8両か 都と営団が対立 地下鉄2線の目蒲線乗り入れ 朝日新聞社 1999-06-05
[140] 문서
[141] 웹사이트 南北線に「異端の新車」登場!8両化の“増結用” 車内が既存車両と全然違う! https://trafficnews.[...] 2023-12-13
[142] 웹사이트 東京メトロプラン2021 東京メトログループ中期経営計画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1-01-30
[143] 웹사이트 東急目黒線、「8両化」に備えた新型車両の全貌 水色ラインの「3020系」、今年11月にデビュー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0-11-16
[144] 서적 東急電鉄 1989-2019 イカロス出版
[145] 간행물 「みなとみらい号」を運転いたします!! はじめて高島平、浦和美園から乗り換えなしで元町・中華街へ 秋に引き続き日比谷線からも運転 https://www.tokyu.co[...] 東京地下鉄/東京都交通局/東京急行電鉄/横浜高速鉄道/埼玉高速鉄道 2004-11-18
[146] 간행물 12月24日(土)臨時直通列車「みなとみらい号」を運転します。〜埼玉、都心から横浜へ直通!「みなとみらい号」で行く横濱クリスマス夜景〜「タッチdeゲット Xmasイルミネーションラリー」も開催! https://www.tokyomet[...] 2011-11-17
[147] 웹사이트 夏休み期間中に『みなとみらい号』を運転します!! (別紙3) http://www.tokyometr[...] 東京地下鉄 2006-06-19
[148] 간행물 クリスマスシーズンに『みなとみらい号』を運転します!! ~みなとみらい号に乗車してクリスマスプレゼントをGetしよう~ http://www.tokyometr[...] 横浜高速鉄道/東京急行電鉄/東京地下鉄/東京都交通局/埼玉高速鉄道 2006-11-16
[149] 웹사이트 【埼玉高速+東京メトロ+東京都+東急+横浜高速】〈みなとみらい号〉〈みなとみらいリレー号〉運転 http://rail.hobidas.[...] 2022-04-09
[150] 웹사이트 相鉄と東急が3月18日改正後のダイヤを発表 東急車の相鉄横浜駅入線も https://www.tetsudo.[...] 鉄道コム 2023-06-07
[151]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5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8-02
[152] 문서 都市交通年報
[153] 문서
[154] 문서
[155] 문서
[156] 논문 (寄稿)東急東横線・東京メトロ副都心線相互直通運転に向けた車両改修ならびに各種確認試験について https://www.tetsusha[...] 日本鉄道車輌工業会 2021-02-08
[157] 웹사이트 「南北線」曲目リスト http://www.switching[...] スイッチ 2021-03-28
[158] 문서
[159] 문서
[160] 웹사이트 東京圏における国際競争力強化に資する鉄道ネットワークに関する検討会 http://www.mlit.go.j[...] 2018-10-31
[161] 웹사이트 東京圏における国際競争力強化に資する 鉄道ネットワークに関する調査 調査結果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鉄道局 2021-02-08
[162] 웹사이트 東京圏における国際競争力強化に資する鉄道ネットワークに関する検討会(第2回)議事概要 https://www.mlit.go.[...] 2021-02-08
[163] 뉴스 "" 東京新聞 2015-07-11
[164] 웹사이트 品川に初の地下鉄 六本木と結びにぎわい創出 首都圏鉄路、交通審答申から(4) https://style.nikkei[...] 日経BP社 2021-02-08
[165] 웹사이트 東京メトロ社長「私も地下通路で道に迷う」 巨大私鉄は上場や都営との統合にどう臨む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1-04-11
[166] 뉴스 品川駅前に巨大広場、地下鉄延伸がネックになる恐れ https://www.nikkei.c[...] 2020-11-16
[167] 뉴스 東京メトロ延伸へ出発進行 有楽町線・南北線で2030年代開業目指す 政府が調査費 https://www.tokyo-np[...] 2021-12-26
[168] 웹사이트 東京大改造「新東京」名乗るのは品川か新駅か http://kenplatz.nikk[...] 日経BP社 2021-02-08
[169] 웹사이트 広域交通ネットワーク計画について ≪交通政策審議会答申に向けた検討のまとめ≫ http://www.metro.tok[...] 東京都 2021-02-08
[170] 뉴스 都が新しい地下鉄構想 臨海部発と品川発の2路線 http://www.asahi.com[...] 2020-11-16
[171] 웹사이트 知事の部屋 > 舛添知事定例記者会見(平成27年7月10日) http://www.metro.tok[...] 東京都 2022-04-09
[172] 웹사이트 東京圏における今後の都市鉄道のあり方について(案)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21-02-08
[173] 웹사이트 <東京圏における国際競争力強化に資する鉄道ネットワークに関する検討会> 調査対象路線(案)について http://www.mlit.go.j[...] 2021-02-08
[174] 웹사이트 東京圏における今後の地下鉄ネットワークのあり方等について(答申)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交通政策審議会 2021-07-25
[175] 뉴스 東京メトロの延伸・新線、国と都が建設費支援へ https://www.nikkei.c[...] 2021-07-10
[176] 뉴스 有楽町線延伸と都心部・品川地下鉄構想/早期事業化を答申/事業主体 東京メトロが適切/交政審 https://www.kensetsu[...] 2021-08-01
[177] 웹사이트 地下鉄有楽町線など延伸 “東京メトロ主体で” 審議会答申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1-08-01
[178] 웹사이트 令和4年度 鉄道局関係予算決定概要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鉄道局 2022-01-18
[179] 웹사이트 東京メトロ 有楽町線と南北線 延伸へ 2030年代半ば開業を想定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2-01-09
[180] 웹사이트 都市計画素案説明会のお知らせ 東京都市計画 都市高速鉄道第7号線 東京メトロ南北線の分岐線(品川〜白金高輪間)計画のあらまし https://www.toshisei[...] 東京都/東京地下鉄 2022-06-10
[181] 뉴스 環4など直下に新線/東京メトロ南北線(品川〜白金高輪) https://www.kensetsu[...] 2022-06-10
[182] 웹사이트 東京都市計画 都市高速鉄道第7号線 東京メトロ南北線の分岐線(品川〜白金高輪間)計画のあらまし https://www.toshisei[...] 東京都/東京地下鉄 2022-06-20
[183] 웹사이트 麻布台ヒルズ https://www.mori.co.[...] 森ビル株式会社 2023-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